아쉬탕가 (3) 썸네일형 리스트형 사트야(Satya) – 진실됨의 의미와 일상에서의 실천법 1. 사트야는 사실을 말하는 것 이상이다사트야(Satya)는 요가의 첫 번째 단계인 야마(Yama)의 두 번째 원칙으로, 일반적으로 ‘진실’ 또는 ‘정직’으로 번역된다. 하지만 사트야는 단순히 거짓말을 하지 않는 윤리적 덕목을 의미하지 않는다. 사트야는 말·행동·의도·태도에서 일관된 진실성을 유지하는 것, 즉 내가 말하는 것과 느끼는 것, 원하는 것과 행동하는 것이 서로 어긋나지 않는 상태를 말한다.우리는 종종 타인에게 맞추기 위해 감정을 숨기거나, 분위기를 해치지 않기 위해 웃으며 거짓된 반응을 보이기도 한다. 때로는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때로는 관계를 지키기 위해 진실을 왜곡한다. 그러나 요가에서 말하는 사트야는 진실을 ‘강요하는 것’이 아니라, 상대와 나 자신에게 솔직하고 정직한 태도를 유지하는 .. 요가의 8가지 수행 – 마음의 평화를 향한 여덟 단계 1. 요가의 본질은 ‘몸의 움직임’보다 ‘마음의 길’에 있다대부분의 사람들은 요가를 신체 운동으로 생각하지만, 요가의 본질은 마음의 정화와 자아의 통합에 있다.고대 인도의 현자 파탄잘리(Patanjali)는 『요가 수트라(Yoga Sutra)』에서 요가의 길을 여덟 단계로 정리했다.이를 팔지 요가(Ashtanga Yoga) 라고 부르며, ‘Ashta(여덟)’ + ‘Anga(지점, 부분)’을 뜻한다.이 여덟 단계는 단순한 수행 순서가 아니라, 삶을 균형 있게 발전시키는 내적 여정이다.요가는 단번에 완성되는 기술이 아니라, 야마(삶의 윤리)에서 시작해 사마디(깨달음)로 나아가는 점진적 성장 과정이다.즉, 요가의 진정한 목표는 완벽한 자세가 아니라 고요한 마음의 상태다. 2. 요가의 8단계 개요파탄잘리가 제시.. 요가의 종류 – 내 몸과 마음에 맞는 요가 선택법 1. 요가에도 여러 종류가 있다요가라고 해서 모두 같은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다.누군가는 강도 높은 동작을 통해 에너지를 채우고 싶어 하고, 누군가는 고요한 호흡 속에서 마음의 안정을 찾는다.이처럼 요가의 종류는 목적과 스타일에 따라 다양하다.오늘날 전 세계적으로 수백 가지의 요가가 존재하지만, 그 뿌리는 모두 ‘몸과 마음의 조화’라는 같은 철학 위에 있다.자신에게 맞는 요가를 찾는 것이 꾸준함의 시작이다. 2. 하타 요가 (Hatha Yoga) – 모든 요가의 기본하타 요가는 가장 전통적인 형태의 요가이자, 모든 현대 요가의 기초가 된다.‘하타(Hatha)’는 ‘해(Sun)’와 ‘달(Moon)’의 조화를 의미하며, 에너지의 균형을 맞추는 요가이다.하타 요가는 자세(아사나)와 호흡(프라나야마), ..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