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상 (19) 썸네일형 리스트형 사트야(Satya) – 진실됨의 의미와 일상에서의 실천법 1. 사트야는 사실을 말하는 것 이상이다사트야(Satya)는 요가의 첫 번째 단계인 야마(Yama)의 두 번째 원칙으로, 일반적으로 ‘진실’ 또는 ‘정직’으로 번역된다. 하지만 사트야는 단순히 거짓말을 하지 않는 윤리적 덕목을 의미하지 않는다. 사트야는 말·행동·의도·태도에서 일관된 진실성을 유지하는 것, 즉 내가 말하는 것과 느끼는 것, 원하는 것과 행동하는 것이 서로 어긋나지 않는 상태를 말한다.우리는 종종 타인에게 맞추기 위해 감정을 숨기거나, 분위기를 해치지 않기 위해 웃으며 거짓된 반응을 보이기도 한다. 때로는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때로는 관계를 지키기 위해 진실을 왜곡한다. 그러나 요가에서 말하는 사트야는 진실을 ‘강요하는 것’이 아니라, 상대와 나 자신에게 솔직하고 정직한 태도를 유지하는 .. 사마디(Samadhi) – 완전한 통합과 평화의 경지 1. 요가의 여덟 번째이자 마지막 단계 - 사마디(Samadhi)요가의 여덟 단계(Ashtanga Yoga) 중 마지막 단계인 사마디(Samadhi)는 모든 수행의 궁극적인 목적이자 완성이다.산스크리트어 ‘사(Sama)’는 ‘같음, 평등함’을, ‘디(Dhi)’는 ‘지성, 의식’을 뜻한다.즉, 사마디는 의식이 완전히 평형을 이루는 상태, ‘나’와 ‘세계’, ‘주체’와 ‘대상’의 경계가 사라진 통합의 경지다.요가 수트라에서는 사마디를 이렇게 정의한다. “마음이 한 대상에 완전히 흡수되어, 그 외의 생각이 일어나지 않는 상태.” 이 말은 의식이 사라지는 무(無)의 상태가 아니라,모든 분리감이 사라진 ‘완전한 일체감의 경험’을 의미한다. 2. 사마디는 명상의 완성이다다라나(집중) → 디아나(명상) → 사마디.. 디아나(Dhyana) – 마음의 흐름이 멈추는 명상의 단계 1. 요가의 일곱 번째 단계, 고요 속으로 들어가다요가의 여덟 단계 중 일곱 번째는 디아나(Dhyana), 즉 ‘명상’을 의미한다.다라나가 집중의 훈련이었다면, 디아나는 그 집중이 지속되어 의식이 한 흐름으로 이어지는 깊은 내적 몰입 상태다.요가 수트라에서는 이렇게 말한다. “다라나가 지속되면 디아나가 된다.” 이 말은 명상이 ‘하려고 하는 것’이 아니라 ‘자연스럽게 일어나는 상태’임을 뜻한다.즉, 디아나는 노력의 결과가 아니라, 집중의 연속에서 피어나는 고요함이다. 2. 명상은 ‘무(無)’의 상태가 아니다많은 사람이 명상을 ‘아무 생각도 하지 않는 상태’로 오해한다.그러나 요가에서 말하는 디아나는 생각을 억누르는 것이 아니라, 생각이 떠오르고 끊임없이 흘러가도 그것에 휘둘리지 않는 상태를 말한다. .. 다라나(Dharana) – 마음을 한 점에 집중시키는 법 1. 요가의 여섯 번째 단계, 집중의 힘을 기르다요가의 여덟 단계 중 여섯 번째 단계인 다라나(Dharana) 는 ‘집중’ 혹은 ‘정신의 고정’을 뜻한다.산스크리트어 ‘다르(Dhr)’는 ‘붙잡다’, ‘지탱하다’는 의미를 가진다.즉, 다라나는 마음이 한 곳에 머물러 흔들리지 않는 상태를 말한다. 요가의 초기 단계(야마~쁘라띠야하라)에서 몸과 감각을 정돈했다면, 이제부터는 그 에너지를 한 방향으로 모으는 훈련이 시작된다.다라나는 명상(Dhyana)으로 들어가기 전 반드시 필요한 과정이다. 2. 왜 집중이 어려운가우리의 마음은 본래 끊임없이 움직인다.조금만 틈이 생기면 머릿 속은 생각이 끊이지 않고, 과거와 미래를 삐르게 오가며 불안과 걱정을 만들어낸다.요가에서는 이런 상태를 ‘치타 브리띠(Chitta Vr.. 프라나야마(Pranayama) – 호흡을 통해 에너지를 다스리는 법 1. 요가의 네 번째 단계, 숨으로 삶을 조율하다요가의 여덟 단계(Ashtanga Yoga) 중 네 번째 단계인 프라나야마(Pranayama) 는 ‘프라나(Prana: 생명 에너지)’와 ‘아야마(Ayama: 확장·조절)’의 합성어다.즉, 프라나야마란 ‘생명 에너지를 조절하고 확장하는 수행’을 의미한다.요가의 고전 『요가 수트라』에서는 이렇게 설명한다.“호흡을 조절함으로써 내면의 빛이 드러난다.” 이 말은 단순한 은유가 아니다.숨은 단순한 산소 교환이 아니라, 우리의 신체와 마음을 연결하는 다리이기 때문이다.요가에서 프라나야마는 단순한 호흡법을 넘어, 의식의 상태를 바꾸는 에너지의 기술이다. 2. 호흡은 몸과 마음의 다리호흡은 의식적으로도, 무의식적으로도 조절 가능한 유일한 생리 작용이다.우리가 마음이 불.. 아사나(Asana) – 몸의 균형을 통해 마음을 다스리는 법 1. 요가의 세 번째 단계, 몸에서 시작되는 명상요가의 여덟 단계 가운데 세 번째인 아사나(Asana) 는 ‘자세’ 혹은 ‘앉음’을 의미한다.오늘날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요가 자세들이 바로 아사나다. 하지만 고대 요가에서 아사나는 단순히 근육을 늘리거나 체형을 교정하기 위한 동작이 아니었다.아사나의 본래 목적은 “몸을 고요하게 만들어 마음이 흔들리지 않게 하는 것”이다.요가 수트라에서는 이렇게 말한다.“Sthira Sukham Asanam (요가 수트라 2:46)”— 아사나는 안정되고 편안한 자세이다. 즉, 아사나란 명상을 위한 안정된 준비 단계이자, ‘힘이 있어도 부드럽고, 멈춰 있어도 편안한 상태’를 의미한다.그것이 바로 요가의 정신이다. 2. 왜 몸의 자세가 마음에 영향을 미칠까몸과 마음은 분리된.. 니야마(Niyama) – 자신을 단단하게 세우는 다섯 가지 내면의 규율 1. 요가의 성장 방향, 바깥에서 안으로요가의 여덟 단계(팔지 요가)는 야마에서 시작해 사마디로 향하는 내면의 여정이다. 그 여정의 두 번째 단계가 바로 니야마(Niyama)다.야마가 세상과 조화를 이루기 위한 ‘외적 관계의 윤리’였다면, 니야마는 자기 자신을 단련하고 정화하는 내적 훈련의 원칙이다.요가는 “세상을 바꾸려면 먼저 자신을 다스려야 한다”고 말한다. 니야마는 그 말의 실천 매뉴얼이다.즉, 내 안의 혼란을 정돈하여 삶을 고요하게 만드는 단계다.⸻2. 니야마는 왜 중요한가야마가 외부 세계와의 관계를 안정시켜 마음의 방향을 세운다면, 니야마는 내면을 단단히 세워 요가 수행의 중심을 잡는다.니야마를 실천하지 않으면 요가의 다른 단계(아사나, 프라나야마 등)도 쉽게 흔들린다. 왜냐하면 몸의 움직임보다.. 명상의 종류와 특징 – 내 마음에 맞는 명상 찾기 1. 명상은 마음을 다루는 여러 길이다명상이라고 하면 가만히 앉아 눈을 감고 있는 장면을 떠올리지만, 실제로 명상은 매우 다양하다. 어떤 명상은 호흡에 집중하고, 어떤 명상은 몸의 감각을 관찰하거나 따뜻한 마음을 확장한다. 또 음악, 소리, 움직임을 통해 의식을 다스리는 명상도 있다. 모든 명상의 목표는 하나다. 바로 ‘지금 이 순간을 온전히 인식하는 상태’로 돌아가는 것이다. 명상의 종류를 이해하면 자신에게 맞는 방법을 찾기가 훨씬 쉬워진다.2. 마음챙김 명상 – 지금 이 순간을 바라보는 훈련마음챙김 명상은 현재 일어나는 모든 경험을 판단하지 않고 바라보는 명상이다. 호흡, 감정, 생각, 감각 등 무엇이든 ‘그대로 알아차리는 것’이 핵심이다. 이 명상은 불안이 많은 사람이나 생각이 많은 사람에게 특히 .. 명상 습관이 삶에 미치는 변화와 뇌 과학적 근거 1. 명상은 단순한 심리 안정이 아닌 ‘뇌 구조의 변화’로 이어진다명상은 단순히 마음을 편안하게 하는 활동이 아니다. 뇌과학 연구에 따르면, 꾸준한 명상 습관은 뇌의 구조와 기능을 실제로 변화시킨다. 하버드 의과대학(Harvard Medical School)과 매사추세츠 종합병원(Massachusetts General Hospital)의 신경영상 연구에서, 8주간의 마음챙김 명상(Mindfulness-Based Stress Reduction, MBSR)을 실천한 사람들의 뇌를 MRI로 분석한 결과, 기억·감정 조절을 담당하는 해마(hippocampus)의 회백질 밀도가 증가했다. 반면 불안·공포를 처리하는 편도체(amygdala)는 회백질 밀도가 감소했다. 이 변화는 단순한 심리적 안정이 아니라, 뇌가 .. 명상에서 싱잉볼을 사용하는 이유와 그 의미 1. 마음을 진동으로 다스리는 도구, 싱잉볼명상을 떠올리면 종종 들려오는 낮고 깊은 울림이 있다. 바로 싱잉볼의 소리다. 싱잉볼은 티베트 불교에서 유래한 금속 그릇 모양의 악기로, 나무 막대로 가장자리를 문지르거나 두드리면 맑고 긴 잔향이 울려 퍼진다. 이 소리는 단순한 음악적 음향이 아니라, 명상과 치유를 위한 도구로 사용되어 왔다. 현대 명상에서도 싱잉볼은 호흡을 돕고, 집중을 유도하며, 불안정한 감정을 진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명상이 조용한 고요 속에서 마음을 바라보는 과정이라면, 싱잉볼은 그 고요로 들어가는 문을 열어주는 열쇠와 같다. 2. 싱잉볼의 역사와 유래싱잉볼은 약 2,500년 전 히말라야 지역에서 처음 사용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티베트와 네팔의 승려들은 명상, 기도, 의식 중에 싱잉볼을..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