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요가이론

(4)
아사나(Asana) – 몸의 균형을 통해 마음을 다스리는 법 1. 요가의 세 번째 단계, 몸에서 시작되는 명상요가의 여덟 단계 가운데 세 번째인 아사나(Asana) 는 ‘자세’ 혹은 ‘앉음’을 의미한다.오늘날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요가 자세들이 바로 아사나다. 하지만 고대 요가에서 아사나는 단순히 근육을 늘리거나 체형을 교정하기 위한 동작이 아니었다.아사나의 본래 목적은 “몸을 고요하게 만들어 마음이 흔들리지 않게 하는 것”이다.요가 수트라에서는 이렇게 말한다.“Sthira Sukham Asanam (요가 수트라 2:46)”— 아사나는 안정되고 편안한 자세이다. 즉, 아사나란 명상을 위한 안정된 준비 단계이자, ‘힘이 있어도 부드럽고, 멈춰 있어도 편안한 상태’를 의미한다.그것이 바로 요가의 정신이다. 2. 왜 몸의 자세가 마음에 영향을 미칠까몸과 마음은 분리된..
니야마(Niyama) – 자신을 단단하게 세우는 다섯 가지 내면의 규율 1. 요가의 성장 방향, 바깥에서 안으로요가의 여덟 단계(팔지 요가)는 야마에서 시작해 사마디로 향하는 내면의 여정이다. 그 여정의 두 번째 단계가 바로 니야마(Niyama)다.야마가 세상과 조화를 이루기 위한 ‘외적 관계의 윤리’였다면, 니야마는 자기 자신을 단련하고 정화하는 내적 훈련의 원칙이다.요가는 “세상을 바꾸려면 먼저 자신을 다스려야 한다”고 말한다. 니야마는 그 말의 실천 매뉴얼이다.즉, 내 안의 혼란을 정돈하여 삶을 고요하게 만드는 단계다.⸻2. 니야마는 왜 중요한가야마가 외부 세계와의 관계를 안정시켜 마음의 방향을 세운다면, 니야마는 내면을 단단히 세워 요가 수행의 중심을 잡는다.니야마를 실천하지 않으면 요가의 다른 단계(아사나, 프라나야마 등)도 쉽게 흔들린다. 왜냐하면 몸의 움직임보다..
야마(Yama) – 타인과 조화롭게 살아가는 삶의 원칙 1. 요가의 시작은 ‘나’가 아닌 ‘관계’에서 출발한다요가의 여정은 매트 위가 아니라, 삶의 태도에서 시작된다.요가수트라(Yoga Sutra)의 저자 파탄잘리(Patanjali)는 요가 수행의 첫 단계로 야마(Yama) 를 제시했다.야마는 산스크리트어로 ‘억제’, ‘절제’, ‘제어’를 뜻하며, 타인과 세상 속에서 지켜야 할 윤리적 실천을 의미한다.요가를 한다는 것은 몸을 유연하게 만드는 것보다, 내가 세상과 맺는 관계를 유연하게 만드는 과정이다.야마는 바로 그 관계의 출발점이자, 요가의 모든 수행이 뿌리내릴 토대다. 2. 야마는 왜 요가의 첫 번째 단계일까요가의 목적은 단순한 건강이 아니라 의식의 평화다.하지만 내 마음이 분노, 욕심, 질투로 가득 차 있다면 아무리 명상을 해도, 아무리 자세를 완벽히 해..
요가의 8가지 수행 – 마음의 평화를 향한 여덟 단계 1. 요가의 본질은 ‘몸의 움직임’보다 ‘마음의 길’에 있다대부분의 사람들은 요가를 신체 운동으로 생각하지만, 요가의 본질은 마음의 정화와 자아의 통합에 있다.고대 인도의 현자 파탄잘리(Patanjali)는 『요가 수트라(Yoga Sutra)』에서 요가의 길을 여덟 단계로 정리했다.이를 팔지 요가(Ashtanga Yoga) 라고 부르며, ‘Ashta(여덟)’ + ‘Anga(지점, 부분)’을 뜻한다.이 여덟 단계는 단순한 수행 순서가 아니라, 삶을 균형 있게 발전시키는 내적 여정이다.요가는 단번에 완성되는 기술이 아니라, 야마(삶의 윤리)에서 시작해 사마디(깨달음)로 나아가는 점진적 성장 과정이다.즉, 요가의 진정한 목표는 완벽한 자세가 아니라 고요한 마음의 상태다. 2. 요가의 8단계 개요파탄잘리가 제시..